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경제를 보다, 경제산업부 박지혜 기자와 함께 합니다. <br> <br>Q1. 서울 강남 아파트 가격이 들쭉날쭉입니다. 얼마 전 신고가에 거래됐다는 뉴스를 얼마 전 본 거 같은데, 요즘 다시 떨어진다고요? <br> <br>올해 여름이었죠. <br><br>전국 아파트 가격이 바닥을 찍고 상승 전환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요즘 상승세를 주도하던 서울 강남권 아파트에서 하락 거래가 속출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서울 서초구의 한 아파트는 지난달 삼십일억 원에 거래가 됐는데요, 불과 두 달 사이에 3억 원이 빠졌습니다. <br> <br>올해 최고가와 비교하면 6억 원이 떨어졌습니다.<br><br>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대장 아파트들에서도 하락 거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> <br>Q2. 그럼 전국 아파트 가격은 어떻습니까? <br> <br>7월 셋째주부터 상승해온 전국 아파트값이 십구주 만에 상승을 멈추고 보합 전환했습니다. <br><br>어제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동향에 따르면 앞서 말씀드린 강남구는 매매가격이 0.02%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지난 4월 이후 첫 하락세로 전환했고요. <br> <br>서초구는 상승을 멈췄고, 송파구도 상승폭이 둔화됐습니다.<br> <br>Q3. 서울 아파트 거래량도 뚝 떨어졌다고요? <br> <br>이달 들어 오늘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건수는 육백여든두(682)건입니다. <br><br>하락장 초입이었던 지난해 말과 유사한 수준입니다. <br><br>지난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천 건을 밑돌다가 지난 5월, 3천 건을 넘어섰는데요. <br> <br>8월을 정점으로 9월부터 세달 연속 감소하고 있습니다.<br> <br>Q4. 반등하는 것 같더니, 가격도 떨어지고 거래량도 줄어드는 이유가 뭔가요? <br> <br>가장 큰 이유는 고금리가 장기화될 거란 전망 때문입니다. <br><br>지난 9월이죠.<br> <br>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기자회견을 하면서 기준금리를 '더 높게, 더 오래' 유지할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. <br> <br>그 때만 해도 투자자들은 '미국이 언제 금리를 내릴까' 기대하고 있었거든요. <br> <br>그런데 파월 의장이 찬물을 끼얹으면서 투자 심리가 급격히 얼어붙은 겁니다. <br><br>Q5. 또 다른 이유가 있나요? <br> <br>고정금리와 연 4%대 저금리를 적용하면서 소득 제한을 없앴던 정책성 대출이죠.<br><br>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대출이 중단된 영향도 있습니다. <br><br>이와 함께 매도자와 매수자의 눈높이 차이가 크다 보니 매물이 쌓이는 영향도 있습니다. <br> <br>최근 급매물이 소진되고 나니 남은 매물들이 좀 비싸다고 느껴지는 건데요. <br> <br>한 부동산 분석업체에 따르면 11월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 건수가 연초 대비 59% 늘었습니다.<br> <br>Q6. 그럼 앞으로 집값은 어떻게 될까요? <br> <br>한마디로 정리하면 '관망세' 계속 이어지겠습니다. <br><br>하락 요인은 역시 금리인데요. <br> <br>고금리가 해소되지 않으면 가격은 주춤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> <br>다만, 최근 전세값이 오르는 추세인 만큼 매매가격이 크게 떨어지진 않을 거라는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<br />박지혜 기자 sophia@ichannela.com